결련택견 소개

『결련택견』이란?

『결련(結連)택견』의 사전적 해석은,

'결련태껸 : 갑동(甲洞)과 을동(乙洞)이 각각 편을 먹고 승부를 결하는 태껸 (문세영, 조선어 사전, 1938)', '결련태 : 여러 사람이 편을 짜 가지고 하는 택견(동아국어사전, 1971)' 등으로 되어 있다.

『결련택견』이란 여러 사람이 편을 짜서(보통 5명에서 15명 사이) 자기 마을의 명예를 걸고 이긴 사람이 계속해서 싸우는 연승제 시합을 하는 것을 말한다. 『결련택견』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고송덕기 옹의 말씀에 의하면 아주 오랜 옛날부터 구한말(舊韓末)에 이르기까지도 매우 성행하여 고 송덕기 옹도 여러 차례 마을의 명예를 걸고 『결련택견』에 참가하였다고 한다. 『결련택견』은 특히 사직골을 '본터바닥'이라 하여 서울 장안을 중심으로 크게 발달된 옛 서울(4대문 안)과 그 근방 일대의 민속경기였다.

일본은 한일 강제합병 후 민족문화 말살정책의 우선으로 조선의 상무정신이 깃든 택견을 법으로 금해 여러 사람이 모여 하는 『결련택견』은 물론이고 개인적으로 택견을 하는 사람들도 무조건 잡아들여서 불행하게도 『결련택견』의 모습이 이 땅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택견이 1983년 6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제 76호로 지정되어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을 받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사실이나 그것은 택견의 기예 자체만을 지정하고 있는 것이지 선조들이 힘을 겨루며 즐기던 상황적 분위기와 모습이 배제되어 있어 올바른 문화전달의 역할을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결련택견』은 택견의 단체전이라는 단순한 의미를 뛰어넘어 그 시합방식에 있어서 격렬하면서도 풍류적인 우리민족 고유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우리 문화의 한 단면을 훌륭히 보여주고 있으므로 반드시 보호되고 재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부분에서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하는 점은 『결련택견』이 현대화라는 명분아래 무비판적인 서구식 스포츠제도의 도입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승패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 엘리트 스포츠인 서양의 경기 방식은 관중과 선수를 분리시키는데 반하여 우리식 스포츠는 관중과 선수가 혼연일체가 되어 한데 어우러진 무질서 속의 질서인 난장을 만들어 승패의 차원을 넘어 같이 즐기고 행하는 신명의 장을 이루고 나아가 모두가 합심하는 대동단결을 창출해 내는 놀이 문화라는데 큰 특징이 있다.

~2020년 11월 사이트
사단법인 결련택견협회
© 2004-2024 taekyun.org, All rights reserved.